카테고리 :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
- 국문법 문제점 - 꾸밈 관계(0)2010.09.25
- 한글 국문법의 치명적 약점 - 수식관계의 모호성(6)2009.11.01
- 한글의 꾸밈관계 문제점....(0)2007.08.29
- 국문법의 문제점(0)2007.07.17
- 국문법의 문제점 - 수식의 모호성(Ambiguity)(2)2006.10.12
1
-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
- 2010/09/25 10:56
국문법 문제점 - 꾸밈 관계세상의 모든 다른 언어들도 아마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.그런데 한국어의 장점도 많겠지만, 단점도 분명히 있어 보인다.내 생각에.... 한국어의 경우, 단어들의 중의성, 즉, 한 단어가 동시에 여러 의미를 가짐으로써 오는 혼란은비교적 적지 않은가 싶다.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각 단어들의 연결관계, 즉, 꾸밈...
-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
- 2009/11/01 08:34
한글 국문법의 치명적 약점 - 수식관계의 모호성한국어를 직접 말로 할 때는....어휘들간의 수식관계의 모호성을 상당 부분 커버할 수 있는 여러 수단들이 존재한다.그러나 한국어가 문서화되어 있을 때에는....어휘들간의 수식관계가 참 애매모호할 때가가끔씩 있다. 그래서 내가 그 문제를 해결할 어떤 문법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해도그런 문제들에 좀 둔한 사람들...
-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
- 2007/08/29 10:03
물론, 다른 나라 언어의 문법에서도, 어휘들간의 꾸밈관계가 애매모호한 때가 매우 많다.그런데 우리 국문법에서, 그런 꾸밈관계의 애매모호성을 조금이라도 줄여줄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.아래 기사의 일부의 문장에서 꾸밈관계의 애매모호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.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.
-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
- 2007/07/17 10:47
국문법에는.....영어 등의 관계사가 없는 것으로 안다.그래서인지.....한글로는 논리적으로 명쾌하게 수식어구를 표현하는데.....가끔씩 애로사항들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.따라서......우리 한글문법에도......관계사 비슷한 무엇을 도입하거나,또는, 예컨데, 수식어구 앞 뒤에 [ ]를 활용하여, 수식되는 단어와 연결시키는 어떤 글쓰기 법을 새로이 도...
- 국문법 문제점과 개선
- 2006/10/12 16:19
jacky747 (210.180.x.19) | 2006.10.12 16:12 | 추천수: 0신고최영의가 쓴 '공수도교본'이란 책을 읽어 보면 이소룡이 어릴적 '최배달'은 자신의 우상이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.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위 글은 어느 기사에 붙은 댓글이다.위 댓글을 보면.....내가 이미 오래전...
1
최근 덧글